저는 생크림 케익, 생크림 빵 등 생크림을 되게 좋아하는데요
먹다보니 입에서 겉도는 생크림이 있고, 가벼우면서 달지 않은 생크림이 있다는걸 깨닫고 찾다보니
생크림에도 동물성 생크림, 식물성 생크림이 있더라구요.
또 요즘 건강을 생각하다보니 유크림, 동물성 크림이 들어있는걸 사야한다라는 말을 보게 돼서
생크림을 사용한 베이커리들의 가격도 저마다 다르고, 이왕 돈주는거 맛있는걸 먹고 싶어서 찾아보게 됐습니다.
동물성 생크림
동물성 생크림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생크림
동물성 생크림은 유지방을 이용해 저어 만든다.
우유 속 지방을 원심분리 등의 물리적인 방법으로 추출해 굳히는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식품 용어로 ‘유크림’ 또는 ‘동물성 크림’이라고 부른다.
+) 동물성 생크림 특징
동물성 생크림은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을 포함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의 일일 권장 섭취량을 넘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
포화지방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올려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높인다.
많은 양의 동물성 생크림 섭취에 주의가 필요하다.
식물성 생크림
식물성 생크림은 팜유, 야자유 같은 식물성 기름에 첨가물을 넣어 만든 크림.
이 밖에 ‘가공유 크림’이나 ‘분말유 크림’ 또한 식물성 크림에 속한다.
가공유 크림은 생크림처럼 유지방을 사용하긴 하나, 설탕이나 기타 첨가물을 이용해 만든다.
분말유 크림은 가공유 크림을 건조해 만든 것이다.
식물성 생크림의 주원료는 거의 인공 경화유.
인공 경화유를 만드는 과정에서 액체 기름을 고체로 굳히기 위해 유화제를 비롯한 여러 첨가물이 들어간다.
이때 트랜스지방과 같은 유해 물질이 만들어지는데, 이런 지방은 체내에서 정상적으로 대사가 되지 않고 축적된다.
트랜스지방은 동맥경화·이상지질혈증 등의 혈관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건강을 생각한다면 섭취를 가급적이면 제한하는 게 좋다.
동물성 생크림 vs 식물성 생크림
식물성 생크림은 동물성 생크림보다 가격 부담이 덜하다.
쉽게 상하지 않고, 모양 역시 오래 유지되기 때문이다.
식물성 생크림은 입에서 잘 녹지 않고 텁텁하다.
식물성 생크림이 모양유지에 장점이 있음.
이렇게 찾아보니 제가 좋아하는 크림은 동물성 생크림...
유크림이 안좋은건줄 알았는데 동물성 생크림=유크림 이였네요,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썸 아메리카노 :: 가격, 사이즈별 에스프레소 샷 개수, 음료양 (0) | 2025.03.25 |
---|---|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 사이즈별 에스프레소 샷 개수, 음료양 (0) | 2025.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