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독서

1일3분1회계 / 김수헌

지니__ 2021. 12. 2. 22:17
반응형

 

출처 : 알라딘

 

 

1일3분1공시와 마찬가지로 회계의 'ㅎ'자도 모른다면 기초책으로 추천,,,

나또한 주식을 처음 접했을 때 아무것도 모르는 문외한이였다

재무의 'ㅈ'자도 회계의 'ㅎ'도,,, 공시를 보아도 무슨 소리인가 의아해했다

 


 

1장. 매출을 언제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 제품과 상품 매출, 언제 장부에 기록할까?

⦁ 손익계산서에서 가장 먼저 산출되는 매출이익 구하기

⦁ 제조원가와 매출원가, 무엇이 다를까?

⦁ 800만 원어치 옷을 팔았는데, 매출은 200만 원? 분식회계?

⦁ 재무제표에 기록하는 순매출, 총매출과 구분하자

⦁ 100% 직매입 마켓컬리, 오픈마켓만 한다면?

⦁ G마켓과 쿠팡, 스타벅스와 이디야의 매출 차가 큰 이유

⦁ 신세계와 현대백화점 매출 구조 해석해보기

⦁ 매출 기준을 바꾸면 이익도 크게 달라질까?

⦁ 매출 15배 차이 쿠팡과 위메프, 상품 거래는 4.3배 차이

⦁ 용역매출 인식 방법, 메가스터디의 강의 서비스

⦁ 바이오 기업의 기술 수출 계약 수익 인식

 

2장. 제조(생산), 원가, 매출, 이익은 어떻게 맞물려 변화하는가?

⦁ 손익을 산출하는 4단계

⦁ 냉장고 제조원가와 기계장치의 감가상각

⦁ 생산량을 늘렸을 때 이익에 생기는 변화

⦁ 인건비, 어떨 때 제조원가가 되고 어떨 때 판관비가 될까?

⦁ 변동비와 고정비 비중에 따른 이익 변화

⦁ 매출 변동폭보다 이익 변동폭이 더 큰 이유, 영업 레버리지 효과

⦁ 도시락을 몇 개 팔아야 이익이 날까?

⦁ 제조원가보다 납품 단가가 낮은 대량 주문, 수락해야 할까?

 

3장. 실전 분석! 스타트업의 사업 구조와 손익계산서 독해

⦁ 마켓컬리의 숙제, 변동비가 너무 크다!

⦁ 돋보이는 새벽배송업체 오아시스, 유통 방식이 경쟁력?

⦁ 쏘카 영업적자의 일등공신 지급수수료, 증가세 줄어들까?

⦁ 매출 정체 직방, 4년 만에 적자에도 연구개발투자는 GO~

⦁ SNS 약발 약해지나? 블랭크코퍼 뜻밖의 영업적자

⦁ 상환전환우선주는 죄가 없다!

⦁ ‘잠자리 전쟁’의 승자 야놀자, 매출 비중 1위는 무엇일까?

⦁ 마이룸(무한쿠폰룸) 사업이 광고매출로 잡히는 이유

⦁ 부쩍 커진 야놀자 숙박 용품 사업, 아직 적자인 이유

⦁ 학원 강의매출과 교재판매매출 차이 이해하기

⦁ 전직원 급여보다 훨씬 큰 일타강사 강의료, 얼마일까?

 

4장. 자신의 가치 변화가 손익에 미치는 영향

⦁ 백종원 고구마 구매한 이마트의 손익거래와 비손익거래

⦁ 자산의 증감과 손익은 어떻게 연결될까?

⦁ 환율이 하락하면 수출매출채권에서 발생하는 손익은 어떻게 될까?

⦁ 수출매출채권 보유 시점과 결제 시점에서 손익은 어떻게 반영할까?

⦁ 10억 원 들어간 기계장치, 5년 정액법으로 감가상각해보기

⦁ 사용가치, 공정가치, 회수가능액 따져보니 유형자산이 손상됐다고?

⦁ 떼일 가능성이 높은 돈, 대손충당금 회계 처리법

⦁ 재고자산의 순실현가능가치란?

⦁ 정유사는 재고평가를 어떻게 할까?

⦁ “여러분은 우리 회사의 자산입니다”, 사장님의 거짓말(?)

⦁ 일타강사의 전속계약금은 왜 자산일까?

 

5장. 갈수록 중요해지는 무형자산 완전정복

⦁ 비용인 듯 아닌 듯, 드라마 제작비와 신약 개발비

⦁ 프랜차이즈 상표권, 실제 가치와 장부가격의 괴리

⦁ 국가 대표급 햄버거 브랜드 상표권 장부가격이 겨우 수백만 원

⦁ 해외 상표권 도입해 영업할 때 회계 처리, K2코리아 ‘아이더’

⦁ 내가 세운 프랜차이즈의 상표권은 내 것? 재판에 넘겨진 사주들

⦁ 자산화한 신차 개발비, 비용화 시작은 언제?

⦁ 현대차와 삼성전자의 극과 극 연구개발비 자산화율

⦁ 임상 실패 논란 헬릭스미스, 당기순손실 대폭 늘어난 이유

⦁ 스튜디오드래곤, 송중기 거액 출연료는 일단 자산으로

⦁ 인수·합병할 때 준 웃돈, 재무제표에 어떻게 기록할까?

⦁ 인수 때 준 웃돈의 정체를 밝혀라!

 

6장. 다양한 부채와 리스회계 바로 보기

⦁ 스타벅스의 선수금 부채가 무려 1291억 원?

⦁ 달러 빚내고 갚을 때 환율 변화가 손익에 미치는 영향

⦁ 주가가 오르면 손실이 늘어나는 딜레마

⦁ 영업적자 나도 당기순이익 흑자 내는 상조회사의 비결

⦁ 선수금과 선수수익 구별해보기-삼성중공업, 메가스터디

⦁ 포인트와 마일리지 주면 매출과 부채 동시 발생-대한항공, 이마트

⦁ 빌려 써도 어떨 땐 내 자산, 어떨 땐 남의 자산-옛 리스회계

⦁ CJ CGV와 아시아나항공, 부채비율 왜 껑충 뛰었나 -새 리스회계

⦁ 약속도 부채가 될 수 있다! 충당부채

⦁ 아시아나항공 감사의견 ‘한정’, 발목 잡았던 것은?

⦁ 태생은 장기부채였지… 두산중공업 유동성 장기부채

 

7장. 독(毒)도 되고 약(藥)도 되는 지분법회계

⦁ SK텔레콤, 시장가치 8조 원대 지분을 장부에 11조 원대로 기록하는 이유

⦁ 지분율 20% 기준으로 신분이 변한다! 관계기업과 지분법

⦁ 지분 30% 가진 기업이 당기순이익을 내면 어떻게 회계 처리할까?

⦁ 지분율 20%가 안 되는데 유의적 영향력이 있다고?

⦁ 삼성출판사, 고마워 아기상어!

⦁ SKT, 영업이익보다 큰 당기순이익의 1등 공신은?

⦁ 영업외 수익과 비용을 구성하는 두 가지

⦁ 지분법이 미워라! LG전자

⦁ 적자 내는 관계기업, 지분법손실로 끝나지 않을 수 있다!

⦁ 700억 원에 인수한 제닉, 장부가격 0이 되나?-솔브레인

 

8장. 주주의 몫 자본, 제대로 이해하기

⦁ 바뀔 수 없는 절대공식, 재무제표 항등식

⦁ 재무제표 항등식의 진리, 자산 증감과 손익 발생은 맞물려 있다!

⦁ 유상증자하면 자산과 자본에 어떤 변화가 생길까?

⦁ 회사가 아무리 투자를 많이 해도 이익잉여금에 변화가 없는 이유

⦁ 무상증자하면 자산과 자본에 어떤 변화가 생길까?

⦁ 무상감자로 자본잠식에서 탈출하는 법

⦁ 유상감자할 때 생기는 감자차손과 감자차익이란?

⦁ 원금 안 갚아도 되는 영구채, 스텝업 금리의 압박-이마트

 

9장. 회사의 건강 상태를 알려주는 현금흐름표의 원리

⦁ 이익 났는데 현금은 왜 한 푼도 안 생기는가?

⦁ 기업의 3대 경영 활동이 현금흐름표에 다 녹아있다!

⦁ 당기순이익을 영업활동 현금흐름으로 교정해보기-비현금 수익과 비용 조정

⦁ 현금흐름 잡는 두 가지,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

⦁ 매출채권, 재고자산, 선급금이 현금흐름에 미치는 영향

⦁ 매입채무와 선수금이 현금흐름에 미치는 영향

⦁ 현금흐름표는 회사의 건강진단서

⦁ 당기순이익이 1027억 원인 회사,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37억 원인 이유

⦁ 한 분기 만에 너무나 달라진 현금흐름-케이엠더블유의 반전

⦁ 투자활동 현금흐름과 재무활동 현금흐름 이해하기

⦁ 분식회계 실마리 보여주는 대우조선해양 이익과 현금흐름의 괴리

 

10장. 연결재무제표와 재무비율 분석

⦁ 경제적으로 한 몸인 ‘연결실체’, 지배기업과 종속기업

⦁ 연결재무제표 손익 계산, 내부거래 지우기

⦁ 지배력 이용해 매출과 이익 늘려도 연결회계에서 교정

⦁ 당기순이익을 둘로 나누는 이유-탑엔지니어링

⦁ LG전자 지배주주 몫의 당기순이익은 왜 비지배주주 몫보다 작을까?

⦁ 연결재무제표, 어떨 때 작성하는 걸까?

⦁ 재고가 얼마나 빨리 팔리는가? 재고자산 회전율 구하기

⦁ 얼마나 빨리 팔고, 빨리 회수하는가? 매출채권 회전율과 영업순환주기

⦁ 투자자가 재무제표에서 가장 먼저 봐야 할 것은?

 


정말 보기엔 유치해보이는 책일지 몰라도 (내가 처음 봤을 때 그렇게 느꼈다)

쉽게 읽히고 쉽게 이해되고

서점에서 아무리 둘러봐도 이만한 책을 찾지 못했다.

 

1일3분1회계를 다 읽고나면 #하마터면회계를모르고일할뻔했다 와 #이것이실전회계다 를 보면 된다.

 

처음 주식을 시작하는 사람이라면 강추하고 싶은 책들이다.

 

반응형

'투자 >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명한 투자자의 지표분석법 / 고재홍  (1) 2021.12.02
1일3분1공시 / 김수헌  (1) 2021.12.02
초과수익바이블  (1) 2021.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