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주식정보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주식시장 및 업종별 영향

지니__ 2022. 2. 28. 13:25
반응형
과거 사례



2014년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강제로 병합했을 때

2014년 2월 ~ 3월(지정학적 리스크 최고조)

러시아 증시 약 12% 하락


S&P500 1.0% 상승

코스피 0.8% 상승





최근 우크라이나-러시아 동향



1. 2022년 1월 2일

바이든,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경우 확실하게 대응할 것



2. 2022년 1월 10일

미국-러시아 우크라이나에 대한 차관급 회담



3. 2022년 1월 12일

러시아-나토(NATO) 회담, 양측 서로 요구사항 거절하며 종료



4. 2022년 2월 11일

바이든,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 높아짐 언급



5. 2022년 2월 12일

바이든-푸틴 전화 통화 협상 지속 합의

러시아 정부, 우크라이나 국경에 위치한 군사 철수 시작 발표



6. 2022년 2월 17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없을시 24일에 블링컨-라브로프 고위급 회담 합의



7. 2022년 2월 20일

마크롱-푸틴 회담 통해 미-러 정상회담과 유럽-러 회담 제안



8. 2022년 2월 21일

푸틴, 우크라이나 돈바스 지역에 러시아군(평화유지군) 진입 명령








업종별 예상 영향


1. 반도체


원재료 수급 차질, 반도체 특수가스 및 케미칼 가격 상승 가능성 존재

(단, 반도체 원가 내 원재료 비중이 크지 않아 메모리 업체들 수익성 하락 폭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함)


2. 전기전자


러시아 수출 규제시 스마트폰 TV, 가전 및 해당 IT 부품 매출 차질예상

[러시아 내 삼성전자 및 LG전자 IT Set 점유율이 높은 편]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원가 부담 가중

*스마트폰

21년도 삼성전자 스마트폰 판매량 중 CIS 및 동유럽 비중 10% 차지

21년 경쟁구도 : 삼성전자 35%, 샤오미(Xiaomi) 27%, 애플(Apple) 10%, Honor 3%

*TV

21년 경쟁구도(매출액 기준) : 삼성전자 44%, LG전자 25%, TCL 4%


3. 디스플레이


특수가스 공급 부족으로 인한 디스플레이 패널 생산 차질 가능성


4. 2차전지


니켈, 알루미늄 등 핵심 소재 가격 상승 압박.

러시아 -> 니켈, 알루미늄 주요 생산국


5. 화학


유가/천연가스 가격 상승에 따른 원재료 가격 동반 상승으로 국내 화학 업체들의 원가 부담 요인 발생.

글로벌 비료 가격 추가적 상승 전망(암모니아 등 질소 계열 + 염화칼륨 수입 제한)


6. 정유


국제 생산량 10 ~ 15% 점유, 원유/천연가스 가격 상승으로 국내 정유 업체들의 판가 개선 및 재고평가이익 증가 예상

유럽 지역 원재료 도입 제한으로 국내 정유 업체들의 반사이익 발생 가능


7. 철강


영향 제한적일 것.

(세계 철강생산에서 러시아 비중 21년 기준 4%)

(한국 - 러시아 철강 수출/수입 비중도 각각 1% 수준으로 미미)

비철산업 : 알루미늄, 니켈 중심으로 일부 공급차질 및 가격 상승 예상

철강 원재료 중 하나인 원료탄 수입과 관련해 러시아 비중(21년) 16%로 4위. 호주(59%), 북미(18%) 등에서 조달 가능할 전망

니켈 가격 상승시 스테인리스스틸(STS) 제품 가격 상승으로 STS 제조사들의 수혜 가능(STS 원재료 비중 중 니켈이 가장 큼)


8. 자동차


러시아 수출 1위 업종

21년 기준 자동차 25억달러, 부품 14.5억 달러 수출

러시아 수출 중 자동차/부품 비중 44%

국내 완성차 수출 중 러시아 비중 4.5%

현대차/기아 -> 러시아 내 M/S 1위(양사 합산 기준)


9. 건설


시멘트 원재료인 유연탄 가격 : 전년비 +150% 상회

러시아 교역 제재시 시멘트사 유연탄 수입 차질과 가격상승으로 인해 시멘트업에서 원가부담 전가될 것


10. 음식료


곡물 수급 차질에 따른 원가 상승 우려

곡물 생산 M/S

옥수수 4%(러시아 1%, 우크라이나 3%)

소맥 14%(러시아 11%, 우크라이나 3%)

곡물 수출 M/S

옥수수 16%(러시아 2%, 우크라이나 13%)

소맥 28%(러시아 19%, 우크라이나 8%)


11. 제약/바이오


신약 해외 임상 차질 발생 가능하나 관련 업체들 영향 미미

의료기기 -> 러시아 수출 감소 예상


12. 은행


우크라이나 사태가 전반적 금융안정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

13. 미디어/엔터


미미할 것

14. 인터넷/게임


단기 주가 변동폭 확대는 우려되나, 영향은 제한적일 것











출처 : 키움증권





#우크라이나사태주식시장 #러시아우크라이나사태주식시장 #우크라이나주식 #러시아주식영향 #우크라이나사태업종별영향 #업종별전망 #주식전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