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개인적으로 골프를 치고 있진 않지만 골프 산업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2030 MZ세대를 중심으로 고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산업이죠,
한국레저산업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국내 골프인구가 2019년 469만명, 2020년 514만명으로 증가했다고 합니다.

국내 골프 인구 추이, 출처 : KB증권
KB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2020년 20대 골프인구 26.7만명(+yoy 92.1%), 30대 골프인구 66.9만명(+yoy 30.7%) 증가했다고 합니다.
2021년에 2030 골프인구는 115만명으로 성장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과거 고소득층의 스포츠에서 MZ세대의 워라밸을 중시하며 본인을 위한 투자, 또 스크린골프의 낮아진 진입장벽 등에 의해 점차 대중화되어가고 있습니다.
한국 골프 산업의 성장 요인
1) 골프장 및 스크린 골프장 확대에 따른 비용 하락
2) 골프에 입문하는 연령대 하락
으로 보여집니다.
제 주변만 봐도 골프를 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가고 있는 것 같아요,
골프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스크린 골프 시장이 있어 국내 골프의 기반을 넓히는데 도움이 됐다는 말은 과언이 아닐겁니다.
2020년대 초반 골프존을 선두로 스크린 골프연습장이 가맹점화되며 스크린 골프 시장의 본격적인 성장이 시작됐는데요,
팬데믹 기간 동안 역으로 스크린 골프장은 인기가 상승했죠.
현재 스크린 골프의 점유율은
단연 골프존이 1위입니다,
3분기 영업이익도 [+138.1%, yoy], [+11.1%, qoq]를 기록했죠
스크린골프 점유율 2위 업체 ‘마음골프’가 3위인 ‘지스윙’을 인수해 현재는 카카오VX로 변경돼 카카오프렌즈 골프도 많이 보셨을겁니다.
이러한 상황변화에도 불구하고 골프존은 M/S 1위를 지키고 있습니다.
스크린골프는 라운딩에 비해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1)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음
2) 통상 실제 라운딩 비용의 1/5 ~ 1/6 수준으로 이용 가능
3) 실제 라운딩을 가기 위한 물리적 제약이 없음
즉 비용적 측면과 접근성, 그리고 편의성이 강점이라고 생각됩니다.
골프 인구의 증가는 당연히 관련 의류와 용품 시장의 성장을 수반할 수밖에 없겠죠,
골프웨어 시장도
2015년 3조원 규모 -> 2021년 5.7조로 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며
2022년 6.3조의 규모까지 성장할 전망이라고 합니다.
다음에는 골프웨어 및 관련 용품, 또 실제 골프장 보유 기업 등 다양하게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D
'투자 > 산업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차전지 리사이클링(배터리 재활용) 산업 (0) | 2022.08.06 |
---|---|
2차전지 : EV배터리 (0) | 2021.12.02 |
메타버스, NFT (1) | 2021.12.02 |
디스플레이 산업 (1) | 2021.12.02 |